
국가 건강검진은 홀수 연도는 홀수년도 출생자, 짝수연도는 짝수 연도 출생자가 받게 되며 본인을 기준으로 2년에 한 번씩 받게 되었습니다. 단, 비사무직인 경우는 1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받게 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본인의 건강검진 대상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배웠다면 이번엔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서 출력방법을 공유드리겠습니다. 본인 검진대상 확인서 출력방법 건강검진 대상자 확인서는 검진기관에 제시하는 용도로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본인의 검진대상 확인서 출력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출력 가능합니다. 출력 순서를 안내드리니 아래 순서대로 진행하시면 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 로그인합니다. 방문자별 맞춤 메뉴 중 건강검진 대상 조회를 누릅니다. 본인의 검진..

대한민국 국민이며 만 20세 이상이라면 국가에서 실시하는 국가 건강검진을 2년에 한 번씩 의무적으로 받으셔야 합니다. 대상자는 지역가입자, 피부양자, 직장가입자, 의료급여 수급권자가 대상이며 이번 포스팅에선 직장가입자 대상 조건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국가 건강검진은 대한민국 국민의 가장 높은 사망원인인 암, 심·뇌혈관계 질환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하며 국민의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국가 복지 혜택입니다. 실제 서울대병원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예방의학(Preventive Medicine)' 2015년 1월 호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국가검진을 받은 그룹이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심·뇌혈관계 질환의 사망률은 42%, 질환 발생률은 18% 낮으며 의료비도 적게 사용한다는 연구결과가..

고혈압, 당뇨병 등 심뇌혈관 질환의 조기발견을 위해 국가에서는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건강보험법을 적용하여 국가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직장가입자는 본인의 사업장으로 검진 대상자 명부가 송부되나 받지 못하였거나 부득이 조회를 해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그럴 때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사업장 국가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사업장 건강검진 대상자는 직장가입자로 분류되며 피부양자, 지역가입자, 의료급여 수급권자와 마찬가지로 2년에 한 번씩 건강검진을 실시합니다. 단, 사무직에 종사하지 않는 직장가입자에 대해서는 1년에 1회 건강검진을 실시합니다. 사업장 대상자 조회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EDI 서비스(edi.nhis.or.kr)로 접속합니다. EDI란 ..

암, 심·뇌혈관 질환은 대한민국 국민의 가장 많은 사망원인입니다. 때문에 질병을 조기 발견하여 치료 및 생활 습관을 개선을 위해 국가 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그룹이 받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심·뇌혈관계 질환의 사망률이 42%, 질환 발생률이 18% 낮고 의료비도 적게 사용한다는 서울대 연구팀 연구결과가 있습니다. 2년에 한 번씩 검진을 받으며 나이에 따라 일반검진과 암 검진 대상을 분류하여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요인인 비만, 이상지질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검사 항목을 구성하여 검진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및 검진항목이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아래의 포스트로 알아봅시다. 국가 건강검진 대상 및 조회 방법 2021년 일반 ..

지난 8일 차기 대선 지지율이 윤석열 1위, 이재명 2위, 이낙연 3위 였는데 한국 갤럽 9~11일 까지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윤석열, 이재명 둘다 24%로 공동 1위를 차지한 결과를 오늘 12일 발표했습니다. 이낙연은 11%로 또 떨어졌습니다. 물론 지난 조사와는 다른 기관이라 결과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중요한건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계속해서 주목을 받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재명 지사는 인천경기, 광주, 전라 등 호남권에서 선호도가 높았으며 윤석열 전 검찰총장은 대구, 경북, 대전, 세종 충청 등에서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윤석열 검찰총장 사퇴 이후로 차기 대선후보 지지율에서 1등을 달리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선 대선후보 지지율의 변동폭과 제20대 대통령 선거일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기 대..

후배의 바지를 내려 신체의 일부를 노출시켜 성희롱으로 징계를 받은 2018 평창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임효준이 중국 귀화를 결정했습니다. 한국 선수가 해외로 귀화한 것은 2011년 안현수 선수의 러시아 귀화 이후 두 번째 일입니다. 중국 귀화를 하게 된 이유를 설명드리겠습니다. 임효준 선수 중국 귀화 결정 이유 국가대표라면 누구나 올림픽 출전하는게 꿈입니다. 평창 쇼트트랙 금메달리스트였던 임효준 선수는 동성 후배 성희롱 사건으로 징계조치를 받고 2년간 한국에서 훈련도 하지 못했고 베이징 올림픽에 참가를 못하는 상황까지 오게 되어 선수로써 생활을 이어가지 못하는 어려움 때문에 스케이트 선수로써 계속 운동할 수 있는 방법만 고민하다 러브콜을 받은 중국으로 귀화를 결정했다고 합니다. 1심에서 벌금 300만원을 ..